카테고리 없음
크리스마스에는
sooien
2018. 12. 26. 00:11
오리탕이지.
광주 오리탕 골목에서 잘나가는 세 집 중 하나인 영미오리탕.
서울에도 있다고 한다.(군자역 근처)
인테리어가 광주에 있는 영미 오리탕과 아주 비슷하다고 한다.
광주 본점보다 국물이 더 진한가? 국물 색이 더 하얀 편인가? 갸웃하는 미식가들. 육수에도 아주 곱게 간 들깨가루가 들어간 것 같았는데, 더 하얀 편인 것은 거피를 더 해서이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었다. 그래서 사장님께 말을 걸었다.
광주식 오리탕을 하는 데가 없어서 못 먹고 있다가 여기를 알고서는 먹으러 왔어요.
(그러고 보니 질문을 안 했네)
밑반찬인 새콤한 깻잎, 깍두기, 김치가 특히 맘에 들었다. 상추와 파채를 무친 것은 안 달아서 좋았다.
반찬들에 만약 단맛이 더해졌다면 오리의 강력한 고소함과 어울리지 않았을 것이다.
오리 고기와 미나리를 함께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, 밸런스라는 단어가 떠오른다.
말이 되는 조합인가 이게? 고소함이 세서 느끼할 수 있는 오리 고기와 신선하지만 향이 센 채소와, 양념장은 초장베이스. 온갖 센 것들이 만났는데 이 조화는 무슨 조화란 말인가.
조화의 전제가 뭘까. 담백함? 일단 재료들 전처리가 잘 되어 있다는 점이야 음식점들의 기본이어야 하고.
경험도 중요한데, 음식만 놓고 보자면 육수가 중요하지 않을까? 맛의 기준이 되어주는 적절한 담백함. 그러니 센 고소함도 센 청량함도 잘 어우러지는 거 아닐까? 양념장에도 들깨가 들어가고.
각 지역마다 고수들이 개입한 게 분명한 질서들이 있는데(등푸른 생선으로 맑은 국을 끓인다든가)
이런 조합을 어떻게 생각하게 되었을까? 그런 게 궁금하다.
오리탕과 미나리 그리고 양념장과 들깨가루가 있었다.
평소 오리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나 이틀 연속 끼니마다 오리탕만 맛있게 먹었다.
광주 오리탕 골목에서 잘나가는 세 집 중 하나인 영미오리탕.
서울에도 있다고 한다.(군자역 근처)
인테리어가 광주에 있는 영미 오리탕과 아주 비슷하다고 한다.
광주 본점보다 국물이 더 진한가? 국물 색이 더 하얀 편인가? 갸웃하는 미식가들. 육수에도 아주 곱게 간 들깨가루가 들어간 것 같았는데, 더 하얀 편인 것은 거피를 더 해서이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었다. 그래서 사장님께 말을 걸었다.
광주식 오리탕을 하는 데가 없어서 못 먹고 있다가 여기를 알고서는 먹으러 왔어요.
(그러고 보니 질문을 안 했네)
밑반찬인 새콤한 깻잎, 깍두기, 김치가 특히 맘에 들었다. 상추와 파채를 무친 것은 안 달아서 좋았다.
반찬들에 만약 단맛이 더해졌다면 오리의 강력한 고소함과 어울리지 않았을 것이다.
오리 고기와 미나리를 함께 양념장에 찍어 먹으면, 밸런스라는 단어가 떠오른다.
말이 되는 조합인가 이게? 고소함이 세서 느끼할 수 있는 오리 고기와 신선하지만 향이 센 채소와, 양념장은 초장베이스. 온갖 센 것들이 만났는데 이 조화는 무슨 조화란 말인가.
조화의 전제가 뭘까. 담백함? 일단 재료들 전처리가 잘 되어 있다는 점이야 음식점들의 기본이어야 하고.
경험도 중요한데, 음식만 놓고 보자면 육수가 중요하지 않을까? 맛의 기준이 되어주는 적절한 담백함. 그러니 센 고소함도 센 청량함도 잘 어우러지는 거 아닐까? 양념장에도 들깨가 들어가고.
각 지역마다 고수들이 개입한 게 분명한 질서들이 있는데(등푸른 생선으로 맑은 국을 끓인다든가)
이런 조합을 어떻게 생각하게 되었을까? 그런 게 궁금하다.
오리탕과 미나리 그리고 양념장과 들깨가루가 있었다.
평소 오리고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으나 이틀 연속 끼니마다 오리탕만 맛있게 먹었다.